

1. fee 증가 시키는 법(Xverse(엑스버스))
a. 위 사진에서 STX 클릭
b. Transaction history(트랜잭션 내용)에서 pending 중인 트랜잭션 클릭
c. 들어가면 맨 아래 increase fee 클릭해서 fee증가 시키기
2. 무한 펜딩일 때(논스값 확인, 트랙젝션 취소(덮어쓰기))
(논스값 보실 줄 알면)
마지막 논스값 확인 후 pending된 논스값 모두 확인
마지막 논스값 이후 다음 논스값이 순서대로 나왔는지 확인
만약 690다음 692가 나와서 무한펜딩 중이면
아무 트랜젝션 하나 만드셔서 691 논스값 넣고 트젝 생성하시면 완료
(논스값 볼 줄 모르면 아래로)
a. Transaction history(트랜잭션 내용)에서 아무거나 클릭
**PC 버전은 바로 STX 익스프롤러로 들어가짐
b. 모바일은 스택스 탐색기 클릭

c. 위 화면이 나오면 자기 지갑주소를 클릭

여기서 하나씩 살펴보면 Fees는 여태까지 사용한 가스피
Last executed tx nonce <-- 690
pending 중인 트랜잭션이 없다면 다음 논스값이 691이 되어야 함
690에서 692로 트랜젝션이 보내졌다면 펜딩에서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음.
d. 위 화면에서 Confirmed 옆에 Pending 클릭

하루전에 1stx를 전송했던 필자의 트랜젝션 너무 오래 지나서 fee 증가 시키는 법으로
fee를 증가 시키려 해도 모바일에서도 increase fee 메뉴가 사라졌습니다.
위 사진에서 1.00 STX 트랜젝션 클릭해봅니다.

맨 위에 Notice 가 떠있죠?.. 아마 자동 FAIL 넘어가면 increase fee를 못하게
되는건가 싶기도 하네요.
Pending 중인 논스값 691 확인, 아까 마지막 논스값은 690이었고
논스값은 정상적인걸로 확인
여기서 increase fee 메뉴가 안떠서 fee 증가를 못시키니
트랜잭션을 새로 생성합니다.

1stx 전송 트랜젝션 생성 confirm 하기 전에
Advanced Settings(모바일은 고급설정)
클릭 하면

Edit fees
Edit nonce
나옵니다.
여기서 Edit fees 해서 보통 stx 전송은 기본 fee로 되지만
혼잡할때는 상황에 맞게 올려줘야 합니다.
2023/12/27에는 전송도 0.5는 줘야 잘 됐습니다.
그리고 트랜젝션 덮을때는 무조건 fee를 기존 트랜젝션 fee보다
증가 시켜야 합니다. 0.00018 -> 0.00019 이렇게 아주 조금
올려도 됩니다.
fee 증가 시켰다면 Edit nonce 를 눌러서
논스값은 기존 트랜젝션과 같은 걸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확인 누르시면 트랜젝션이 생성됩니다.
기존 트랜젝션은 pending 에서 사라지고
새로 생성한 트랜젝션이 pending 에 생겼을 겁니다.
이렇게 하면 완료입니다.
이렇게 했을때 가끔 트젝 새로 생성한것은 pending
기존거는 confirmed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 nonce값 같으면 pending 에 있는 트젝은 무시하고
다음 nonce값으로 트젝 생성하셔도 무방합니다.
https://open.kakao.com/o/gwKKoGAb
'암호화폐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택스 스태킹 가이드(STACKS STACKING GUIDE) (0) | 2023.10.27 |
---|---|
히로 월렛 메뉴얼 - 스택스 지갑 (0) | 2022.03.21 |
인디고 프로젝트 뉴스레터3 - 스택스 NFT (0) | 2022.03.09 |
타이거 포스(TIGER FORCE) AMA #2 - 스택스 NFT (2) | 2022.02.25 |
인디고 프로젝트 디스코드 공지 - 스택스 NFT (2) | 2022.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