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스 입문자용 글입니다.
스택스월렛, 스택스 지갑으로 사용되는
히로 월렛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서 없이 제가 아는 한으로 정보를 풀어보겠습니다.

크롬 확장을 설치하신 후 주소창 옆에 저런 식으로 나타나게 되고
어떤 페이지에서도 저 빨간네모를 클릭해서 월렛을 오픈하는 방법입니다.

1번 네모를 클릭 후
Hiro Wallet 옆 2번 네모 압정을
클릭해줍니다.

완료 하시면 이런 식으로 나타나게 되고
크롬 어떤 페이지에서도 히로 월렛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히로 월렛 메뉴를 알아보게 되면
1번 네모에 버전, 2번 네모 스택스 전송
3번 네모 받는 주소 확인 가능
4번 계좌 잔고
히로 월렛에서 사용하는 토큰 전송하는 법입니다.
2번 네모 Send를 누르시면

이런 식으로 나오게 되고 위 그림 1번 네모를 누르시면
오른쪽처럼 전송 가능한 토큰들이 나오게 됩니다.
2번에는 수량을 넣으시면 되고
3번에는 토큰을 받을 주소를 기입하시면 됩니다.
1번, 2번, 3번 다 넣고 나면 아래 사진처럼
메모와 Fee도 기입할 수 있습니다.

1번 메모는 히로 월렛끼리는 필요 없고
거래소 전송시에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거래소 지갑 주소는 딱 하나만 쓰고 메모로
받을 사람을 구분하기 때문입니다.
히로 지갑 주소 = 주택
거래소 지갑 주소 = 서초 그랑 자이 아파트 , 메모 = 동, 호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 그림 2번 네모에서 Fees 에서 standard를 클릭하시면
수수료를 조정 가능합니다. 네가지가 가능하고
Custom을 선택 하시면 수수료를 본인이 원하는 수수료로
설정 가능합니다. 지금은 히로 월렛의 수수료 조정모델에
의해서 스탠다드 Fee가 상당히 싸져서 저는 요즘에
스탠다드 Fee로만 사용 중입니다.
커스텀 시에는 0.1~0.001 정도로 사용합니다.
3번 네모 Edit nonce가 중요한 부분인데
보통 거래를 한 번도 안 했고 스택스를 받고
사용하는 경우인데 제일 처음 사용하실 때
논스값이 0으로 잡혀야 합니다.
논스값이 1로 잡히면 무한펜딩이라고
흔히 부르는 현상이 생깁니다.
그렇게 되면 실행한 작업이 완료가 안됩니다.
Pending 이라고 떠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혹시 새지갑에서 작업이 완료가 안되고
몇 시간 동안 Pending이라고 떠있다면
논스값 확인을 해보시면 됩니다.
논스값 확인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히로 월렛에서 1번 액티비티를 누르고
2번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크롬이 열리면서 위에서 오른쪽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거기서 빨간 네모 Nonce 481을 보실 수 있습니다.
논스값 확인법은 이 정도면 될 것 같습니다.
무한펜딩이 걸리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완료된 논스값 1번(FAIL도 완료입니다)이라고 하면
다음 논스값이 2번이 아니고 3번 이상이거나
하면 걸리게 됩니다.
두 번째는 스택스 전송을 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100STX가 지갑에 있는데
100STX를 다른 지갑으로 보냅니다.
수수료는 1STX이라고 가정합니다.
그러면 101STX가 필요한데
100STX 전송을 해서 지갑에서 수수료를 낼 수가
없기 때문에 무한펜딩이 걸립니다.
이 경우에는 수수료를 더 넣어주면 풀립니다.
이번에는 알아두면 조금 도움 되는 정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자신의 수행한 트랜젝션에 대해서 무슨 문제가
생겼을 때 가끔 TXID 보내보세요?
트랜잭션 주소 보내보세요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그게 뭔가 싶은데 아까 위에서
히로 월렛에서 ACTIVITY 가서
자신이 수행한 아무거나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Transacion ID가 보입니다.
저기 네모 안에 있는 내용이 같습니다.
TXID라고 하면 저 ID만 보내도 되고
주소창에 있는 걸 복붙 해서 보내주셔도 됩니다.
그리고 저 화면에서 자신의 지갑 주소를 클릭하게 되면
자신이 수행한 모든 트랜젝션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ransactions 아래로 보시면
제가 7일 전에 415stx를 어딘가로 보냈고
뉴욕 코인 보상을 클레임 했고 등등등
다 볼 수 있습니다.
위 화면 오른쪽을 보면 stx 잔고도
확인 가능합니다.
그리고 Holding에 Tokens에서
stx외 토큰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ollectibles를 누르면

자신이 가진 NFT도 확인 가능합니다.
히로 월렛에서 오른쪽 위에 점 3개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번은 같은 니모닉(24개 단어) 안에 든 지갑주소를
선택하는 기능입니다. 클릭하면 생성한 지갑들 중
아무것이나 갈 수 있습니다.
3번은 새로운 지갑 생성입니다. 누르면 바로 생성됩니다.
손이 미끄러져서 생성하기 쉬운 부분..
4번은 니모닉 각 단어 24개를 보여줍니다.
5번은 메인넷, 테스트넷 등 선택 가능한 메뉴입니다.
예전에 알렉스앱 테스트할 때 알렉스 전용 네트워크
등록하고 테스트를 진행했었습니다.
6번은 니모닉이 아닌 2차비번 지갑 로그아웃입니다.
로그인 하기 전으로 돌아갑니다.
7번은 니모닉 1차비번을 사용해서 들어와야 하는 상태로
사인아웃 됩니다. 니모닉 보관을 안하신 상태에서는
절대로 누르시면 안됩니다.
니모닉은 종이에 직접 적어서 금고에 보관하는게
좋습니다. 디지털 형태로 두시면 해킹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것으로 히로 월렛 사용법은 정리가 된 것 같습니다.
더 필요한 내용이 있다면 새로운 글로
또 찾아뵙겠습니다.
스택스 입문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스택스 생태계에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링크 ㄱㄱ 
스택스 코리아 공식 카카오톡 , 비번 : muneeb 
https://open.kakao.com/o/gwKKoGAb 
스택스 코리아 공식 디스코드 
https://discord.gg/SaCRnHBDQE 
Join the 스택스 한국 디스코드 Discord Server!
스택스 한국 전용 디스코드 커뮤니티 입니다. | 1,074 members
discord.com

'암호화폐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Xverse(엑스버스)모바일 월렛 사용법(fee 증가, 펜딩) (0) | 2023.12.28 | 
|---|---|
| 스택스 스태킹 가이드(STACKS STACKING GUIDE) (0) | 2023.10.27 | 
| 인디고 프로젝트 뉴스레터3 - 스택스 NFT (0) | 2022.03.09 | 
| 타이거 포스(TIGER FORCE) AMA #2 - 스택스 NFT (2) | 2022.02.25 | 
| 인디고 프로젝트 디스코드 공지 - 스택스 NFT (2) | 2022.02.24 | 
										
									
										
									
										
									
										
									
댓글